When a baby is born, it goes ‘here’

아기를 낳으면 ‘여기’로 간다

Hangling Daily News
Feb 01, 2024

아기를 낳으면 ‘여기’로 간다
When a baby is born, it goes ‘here’

한국의 산후조리원 문화가 세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Korea's postpartum care center culture has received world attention.

미국 뉴욕타임즈의 로레타 찰턴 에디터는 서울에서 아기를 낳고 산후조리원을 간 경험을 기사로 소개했습니다
Loretta Charlton, editor of the New York Times, wrote an article to introduce her experience going to a postpartum care center after giving birth to a baby in Seoul.

산후조리원은 아기를 낳은 후 여성들이 몸을 회복하기 위해 가는 곳으로 평균 2주 동안 지냅니다
A postpartum care center is a place where women go to recover after giving birth to a baby and stay for an average of two weeks.

산후조리원에서는 아기를 낳은 엄마들이 충분히 쉴 수 있도록 아기를 대신 돌봅니다
The postpartum care center takes care of the baby instead so that mothers who gave birth can get enough rest.

엄마들은 마사지를 받거나 아기를 잘 키우기 위해 필요한 수업을 듣기도 합니다. 
Mothers also get massages or take classes necessary to raise their babies well.

찰턴 에디터는 “한국의 산후조리원 문화는 정말 훌륭하다”고 칭찬했습니다
Editor Charlton praised, “Korea’s postpartum care center culture is truly excellent.”

어휘 Vocabulary

① 문화 : culture

② 주목을 받다 : receive attention

③ 아기를 낳다 : giving birth to a baby

④ 경험 : experience

⑤ 소개하다 : introduce

⑥ 회복하다 : recover

⑦ 평균 : average

⑧ 지내다 : stay

⑨ 충분히 : enough

⑩ 대신 : instead

⑪ 돌보다 : take care

⑫ 마사지 : massage

⑬ 훌륭하다 : excellent

⑭ 칭찬하다 : praise

배경지식 Background

① 산후조리원(Sanhu-Joriwon)
: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권은 아기를 낳은 후 엄마의 몸 관리가 회복에 중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은 산부인과와 독립되어 운영하는 산후조리원 문화를 세계에서 유일하게 가지고 있습니다. 산후조리원의 서비스 수준에 따라 2주에 300만원부터 2000만원까지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① Sanhu-Joriwon
: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recognize that mothers' physical care is important for recovery after giving birth to a baby. Korea is the only country in the world that has a culture of postpartum care centers operated independentl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ending on the service level of the postpartum care center, you have to pay from 3 million won to 20 million won for two weeks.

Reply

or to participate.